반응형
르뱅 쿠키 탕종 식빵 뜻 정보
카페나 베이커리에서 르뱅과 탕종이 강조된 쿠키와 빵이 자주 보인다. 여기서 '르뱅'과 '탕종'은 무슨 뜻인지 알아보자.
르뱅

프랑스어인 르뱅은 라틴어'levare'가 어원이다. 뜻은 '부풀다'인데, 르뱅은 다양한 효모균을 배양해서 좀 더 복합적으로 새로운 향과 풍미를 가진 빵을 만들 수 있게한다.
르뱅 안에 있는 효모균은, 빠른 번식을 통하여 많은 양의 가스를 만드는 수십 억의 단세포 생물로 수십 억 마리가 존재한다.
이런 빵이나 쿠키들은 일반 상업용 이스트로 만든 빵들보다 보존기간도 더 길다.
탕종

탕종은 한번 호화한 반죽으로 빵을 구워서 두 번 호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호화 : 밀가루가 사용되는 요리에선 '호화반응'이란 것이 일어난다. 이는 밀가루의 전분이 물을 흡수하고 가열되면서 걸쭉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기존 빵을 구울 땐 밀가루에 물, 버터, 계란 등의 재료를 넣고 섞은 후 오븐에서 온도를 높여 호화시킨다.
반면 탕종법으로 빵을 만들 땐 밀가루나 쌀가루에 물을 섞은 걸 오븐이 아닌 냄비에 먼저 넣는다. 열을 가하면서 섞어서 오븐에 넣기 전 한 번 호화 과정을 촉진하는 것.
탕종법으로 반죽을 만들면 반죽의 보습성과 탄력이 높아져 빵이 더 쫄깃하고 촉촉해지는 장점이 있다.
풀방구리 생쥐 드나들듯 뜻은? 쓰임새
풀방구리 생쥐 드나들듯? 가끔 연세가 좀 있어보이는 분들이 쓰는 "풀방구리 드나들듯"이란 표현. 과연 무슨 뜻일까? 풀방구리는 또 뭐고.. 그래서 알아보았다. 우선 풀방구리가 뭔지 알아보자.
cheesdal.tistory.com
반응형
'지식 > 단어 l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계엄 뜻 계엄령 선포되면 일어나는 일 (0) | 2024.12.03 |
---|---|
알잘딱깔센 뜻 유래 개웃김 (0) | 2024.11.30 |
에타 동현 리라 무토바금지 쫀득 뜻 밈 유래 (3) | 2024.11.15 |
썩어도 준치 뜻 이빨 아니고 생선 (1) | 2024.11.13 |
B.A.와 B.S. 뜻과 차이점 (0)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