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실생활 유용

민생지원금 신청기간, 금액, 자격, 사용처 다이소 배달의민족 가능

by 루루얍 2025. 7. 8.
반응형

민생회복 소비쿠폰

모든 국민에게 최소 15만~ 최대 55만원이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분이 오는 7월 21일 오전 9시부터 신청 가능하다. 신청 방법과 신청 자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1차 지원금, 수급 자격

 

 

소득을 지원해 소비활성화를 돕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분은, 7월 21일 오전 9시부터 신청 가능하다. 이는 모든 국민들에게 15만원(조건에 따라 최대 55만원)이 지급되는 것으로 1차와 2차로 나누어 지급한다.

 

1차는 전국민 대상으로, 소득에 따라 금액이 다르다. 대다수의 국민은 1인당 15만원씩을 받는다. 서울 3인가구는 그러니 45만원을 받는다. 차상위 계층과 한부모 가족은 1인당 30만원, 기초생활수급자들은 40만원을 받는다. 서울/경기/인천을 뺀 비수도권 주문에겐 3만원,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엔 5만원을 지급한다. 

 

*요약*

  • 1차 지급 (7/21~): 모든 국민에게 기본 15만원이 지급된다. 여기에 소득과 지역에 따라 추가 지원금이 더해지는 것.
    •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총 30만원
    • 기초생활수급자: 총 40만원
    • 지역 추가 지원: 비수도권(+3만원), 농어촌 인구감소지역(+5만원)에 거주할 경우, 위 금액에 추가로 지급된다. 
  • 2차 지급 (9/22~): 1차 지급 후,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이 추가로 지급된다. 예를 들어, 일반 국민(소득 하위 90%)이 비수도권에 거주한다면 1차(15+3) + 2차(10)를 더해 총 28만원을 받게 된다.

 

[2]
2차 지원금, 수급 자격

 

2차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민이 10만원씩 추가로 더 받는다. 건강보험료를 활용한 소득 선별과정을 거쳐 지급대상 90%를 선정한다. 

 

2차 지급까지 이루어진다면 국민 한 사람이 받는 최대 금액은 55만원(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하는 기초수급자가 이에 해당)이다. 정부가 건보료 외에 고액 자산가를 선별하는 기준을 추가 마련해 2차 지급 최종 대상자를 9월 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3]
신청 기간, 신청 방법

 

1차는 7월 21일 오전 9시부터 9월 21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수령 방식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으로 구분된다. 

체크카드, 신용카드로 지급받을 경우 21일부터 충전 희망 카드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신청가능하다. 신청 다음날 충전금은 해당 카드에 지급된다. 

모바일 및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은 21일 자치단체별 지역사랑상품권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선불카드나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받게될 경우, 21일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가능하다.

 

*요약*

  • 1차 신청 기간: 2025년 7월 21일 (월) ~ 9월 12일 (금)
  • 2차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 (월) ~10월 31일 (금)
  • 신청 방법: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해 신청한다.
  • 신청 첫 주 요일제: 신청 과부하를 막기 위해, 첫 주인 7월 21일(월)부터 25일(금)까지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른 요일제가 적용된다.
    • 월: 1, 6년생 / 화: 2, 7년생 / 수: 3, 8년생 / 목: 4, 9년생 / 금: 5, 0년생
    • 주말(온라인)과 7월 28일(월)부터는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4]
지원금 사용처, 사용 기한

 


사용기한은 11월 30일까지다. 사용하지 못한 잔액은 자동 소멸된다. 지원금은 주소지 지방자치 단체 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특별시 또는 광역시 주민은 특별시, 광역시 안에서, 도 지역 주민은 주소지에 해당하는 시군 안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서울 시민이 분당 혹은 일산에서 이를 사용하는 건 불가능하다.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지역 내 매출 30억원 이하인 소상공인 사업장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다만 지역화폐는 편의점, 슈퍼, 마트 등 유사 업종이 없는 면 지역 125곳의 농협하나로마트 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기업형 슈퍼마켓, 대형마트, 백화점 및 면세점, 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유흥이나 사행업종, 환금성 업종 등에선 사용 불가하다. 샤넬 등 대형 외국계 매장이나 코스트코 등 창고형 대형 마트, 스타벅스 등의 프랜차이즈 직영점에서도 사용 불가하다. 세금이나 보험료도 이 소비쿠폰으로 낼 수 없다.

 

정부는 혼선을 막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매장' 스티커를 부착할 예정이니 사용 전 확인하면 편리하다.

 

그런데 다이소여도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에선 사용이 가능하다. 배달앱도 배달의 민족이나 쿠팡이츠 앱을 통해 직접 결제하면 소비쿠폰을 사용 못하지만, '만나서 결제' 기능처럼 배달기사가 들고 온 식당 카드 단말기에 직접 결제하는 경우엔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

 

*요약*

  • 사용 가능처: 전통시장, 동네마트, 음식점, 병원, 학원 등 대부분의 동네 상점
  • 사용 제한처: 백화점, 대형마트, 대형 외국계 매장(애플, 이케아 등), 명품 매장, 유흥업소, 온라인 쇼핑몰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기한 내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소멸된다.

 

 

치킨뼈 일반쓰레기로 버렸는데 과태료 10만원 낸 이유

치킨뼈는 일반쓰레기? 음식물쓰레기?치킨뼈는 딱딱하기 때문에 달걀껍질처럼 음식물쓰레기가 아니라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적당한 크기의 종량제봉투에 담아서 버려주면 된다.A씨도 그래

cheesda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