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콘텐츠/알쓸신잡

짐새 : 몸에 맹독이 있는 중국 전설의 새

by 루루얍 2025. 1. 18.
반응형

짐새(鴆鳥)

 

짐새는 온몸에 맹독이 있기로 유명한 맹독조류로, 중국 화남 지방(*현재의 광둥성 방면)에 서식했다고 전해지는 중국 전설의 새다. 중국의 고대 사서에서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짐새를 일컫는 글자인 '짐새 짐(鴆)'까지 존재하지만, 현대에는 전혀 발견되지 않고있다.

 

그 실존 여부가 의심스럽고 몸에 독을 지닌 새라는 특이함 때문에 때때로 요괴로서 취급받기도 한다.주로 살모사(殺母蛇)와 야생하는 칡을 먹고 사는데, 독사를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몸에 독 성분이 가득하다 하고, 다른 동물이 이 새를 먹으면 100% 즉사한다고 한다. 이 때문에 짐새의 둥지 근처엔 풀도 안 났고, 심지어 깃털마저도 독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고 한다. 이렇게 제조한 독을 짐독(鴆毒)이라고 한다.

 

짐독의 정확한 성분이나 제조법은 알 수 없으나, 짐새의 피를 구강으로 섭취할 경우 입과 목이 탄다는 내용으로 보아 유기용매와 유사한 독으로 추정된다. 가끔 짐새를 이용해 깃털을 술에 담가 암살용으로 마시게 했다는 기록도 있다. 짐주(鴆酒/酖酒)를 주무기(?)로 쓴 대표적 인물은 유방의 부인인 여후.

 

산해경에는 이름은 같지만 다른 짐새에 대한 기록도 있다. 중산경 중 중차십일경에 따르면 요벽산이란 곳에도 짐새라는 새가 사는데, 이 짐새는 꿩을 닮았고 풍뎅이를 잡아먹고 산다고 나온다.

 

짐새가 지어낸 환상종이라기엔 역사적으로 짐새에 대해 자세히 기록된 바가 많다. 고대문헌에서도 자주 언급되고 강력한 맹독을 '짐독'(鴆毒)이라고 하는 등 이야기가 많다. 각 문헌과 조칙상 짐새의 반입을 금지했다거나, 또는 짐새가 발견됐다는 보고가 올라온 산 전체에 불을 질렀다는 등의 사서의 기록을 볼 때 짐새가 과거에 실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앞서 기술한 대로 여후는 짐주를 정말 주무기 수준으로 사용한 기록이 있다. 심지어 진서에는 석숭이 왕개에게 짐새를 선물로 줘서 왕개가 길렀는데 당시 법에 짐새를 장강 이북에서 키우기는 불법이었기에 결국 짐새가 살처분 당했다는 기록까지 있다. 실존한 조류가 아니라면 이렇게까지 자세한 기록이 나오는 게 가능할까싶다.

 

그리고 뉴기니에서 발견된 피토휘(Pitohui, Pitohui spp.)와 'Blue-capped Ifrita(학명 Ifrita kowaldi)라는 새는 피부와 깃털에 독이 있는데, 이 독은 독이 있는 딱정벌레를 잡아먹어서 얻는다고 한다. 이 새들의 깃털에 있는 독은 일시적인 마비를 불러오는 정도지만 박차날개기러기라는 새는 고기를 먹으면 독에 중독되어 사망할 수 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새들의 공통점은 모두 체내에서 스스로 독을 생성하지 않고 먹이를 통해 얻었다는 점에서 전설 속 짐새와 생태가 일치한다. 이들의 독은 문헌상의 짐독에 비해 훨씬 독성이 약한 편이고 목이 길게 묘사되는 짐새의 그림 속 모습과는 다르게 생겼기 때문에 짐새의 원형이라 보기에는 어렵겠으나, 이 새들의 존재는 고대에 맹독을 지닌 유독종 조류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해독방법은 코뿔소 뿔? 

짐새의 독을 해독하기 위해선 코뿔소 뿔이 효과가 있다는 미신이 언제부터인가부터 퍼지게 되었고, 독주에 의한 암살을 무서워한 중국 역대의 황제나 고위 귀족들은 코뿔소의 뿔로 완성된 잔을 얻고자 노력했다. 이 코뿔소 뿔의 해독제 효과에 관련한 미신은, 짐새의 기록이 사라진 이후부터는 "코뿔소뿔은 짐새(짐조)의 독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독에 대해서 유효하다"라든가 또는 "엄청나게 좋은 정력제이다"라는 식으로 바뀌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때문에 오늘날 세계 각지의 한방 약국(漢方薬局)들은 코뿔소뿔을 비상식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거래하고 있고, 이 영향으로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코뿔소는 멸종위기에 몰릴 정도로 그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현재 코뿔소의 모든 종류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워싱톤 조양)에 따라 코뿔소가 사는 지역 국가로부터 엄중한 보호를 받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을 받고 팔려는 밀렵자들에 의한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게다가 코뿔소 뿔에 관련된 미신이 이제는 서양에까지 전해져, 유니콘의 뿔에는 물을 맑게 한다는 다른 미신을 낳아버렸다.

 

ㅊㅊ 나무위키

 

 

화타가 쓴 마취약은 마비산

화타(145~208) 외과학의 창시자로도 불리는 화타는 중국의 전설적인 의사다. 그는 마비산이라는 마취약을 사용해서 수술을 했던 걸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 에서 철종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을

cheesdal.tistory.com

 

반응형